사업 개요
> 교육정보 > 함평마을학교 한마당 > 사업 개요
함평마을교육공동체 사업 개요
함평마을교육공동체란
학교와 지역사회 전체가 학생교육에 참여하고 학생들이 공동체적 삶의 체험을 통해 공동체의 가치를 체득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하는 배움과 삶이 어우러진 새로운 형태의 사회공동체
※ 마을교육공동체의 핵심가치- 공공성, 자발성, 공동체성, 민주성, 지속성
함평마을학교란
마을교육공동체 구성원이 자치역량을 바탕으로 방과후 활동이나 돌봄 기능을 지원하는 등 아이들을 함께 키우고, 민주시민의 자질을 지닌 마을의 주인으로 성장시키고자 배움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학교
함평마을학교 중장기 발전 과제
연도 추진내용 |
2019년 |
2020년 |
2021년 |
2022년 |
---|---|---|---|---|
토대 구축기 |
도약기 |
성장기 |
발전기 |
|
마을교육공동체 운영 |
‧ 함평마을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지원 체계 구축 및 유형별 모델 발굴 |
‧ 함평마을학교 마을형 모델 확산 |
‧ 함평지역 8개면 마을형 마을학교 및 센터형(읍) 정착 |
‧ 함평 특색이 반영된 교육자치 실현 |
함평마을학교 목적
- 학교- 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지역 교육생태계 구축
-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한 교육자치 구현
함평마을학교 방향
- 자자체와 연계, 마을교육공동체를 구축하여 장기적으로 교육자치를 실현할 수 있는 토대 마련
- 면단위별 마을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해 마을학교를 거점 삼아학교, 학부모, 마을주민을 한 단위로 역량 강화 연수 운영
- 2019. 마을학교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적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운영 과정 전반에 대해 성찰하고 마을교육공동체로서의 토대 마련
- 마을학교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2020년 면단위별 마을학교 설립을 위해 미 설치된 면단위 준비자를 포함하여 운영
- 마을-학교 교육과정 연계를 위해 마을자원 박람회, 마을축제, 교육과정 컨퍼런스 등 사업 진행
함평마을학교 현황
연번 |
마을학교명 |
프로그램 |
형태 |
---|---|---|---|
1 |
해봄 |
사람책, 기초학습 도움반(국어, 수학, 독서논술) 등 |
마을형 |
2 |
꿈자람 |
마을알기,악기배우기 등 |
마을형 |
3 |
꿈이든 |
생태농장, 펫테라피 등 |
마을형 |
4 |
월야달맞이 |
의병체험, 지역역사탐방 등 |
마을형 |
5 |
교육공동체이음 |
스쿨버스 마을여행, 강구연월 축제 등 |
마을형 |
6 |
라온 |
드론 축구, 동화책 탐혐 등 |
마을형 |
7 |
다움숲 |
목공수업, 별캠프 등 에코라이프 지향 프로그램 |
마을형 |
8 |
새빛 |
마을탐사대, 검도 교실 등 |
마을형 |
9 |
한나리 |
생태 실습, 타일 벽화 등 |
학교 주도형 |
10 |
도담도담 |
역사문화탐방, 도서교실 등 |
마을형 |
11 |
천지 |
전래놀이터, 부모님과 함께하는 캠핑 등 |
센터형 |
함평마을학교별 중점사업
마을형
- 해봄 마을학교: 해보면, 학교-마을 교육과정 연계
- 꿈자람 마을학교: 손불면, 학교-마을 교육과정 연계
- 꿈이든 마을학교: 대동면, 학교-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
- 다움숲 마을학교: 함평읍, 학교-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
- 교육공동체이음 마을학교: 나산면, 학교–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
- 월야달맞이 마을학교: 월야면, 학교–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
- 라온 마을학교: 학교면, 학교–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
- 새빛 마을학교: 신광면, 학교–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
- 도담도담 마을학교: 엄다면, 학교–마을 연계 교육과정 운영
학교 주도형
- 한나리 마을학교: 함평고-영화학교-기업, 연계 마을협동조합
센터형
- 천지 마을학교: 함평관내 학교 전래놀이 보급
기대 효과
- 마을학교 역량강화를 통해 학교와 마을이 함께 하는 교육공동체 구현
- 면단위별 마을교육공동체 운영을 통한 행복한 함평교육자치 실현